대동
종목코드 | 000490 |
---|---|
업종 | 특수 목적용 기계 제조업 |
주요제품 | 경운기,트랙터,이앙기,바인더,수확기(콤바인),농업용엔진 및 부품 제조,판매 |
상장일 | 1975-06-27 |
결산월 | 12월 |
대표자명 | 김준식, 원유현 |
홈페이지 | http://www.daedong.co.kr |
지역 | 대구광역시 |
대동의 2023년도 결산 사업보고서 핵심 요약
이 사업보고서는 농기계 제조 및 판매를 주력으로 하는 글로벌 기업의 현황을 담고 있습니다. 회사는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의 농업용 기계를 생산하며, 주물제품과 모빌리티 부문으로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 농업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1. 영위하고 있는 사업:
- 농기계 부문: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 제조 및 판매
- 주물제품 부문: 실린더헤드 및 기타 주물제품
- 모빌리티 부문: 농용작업기, 산업용 롤러체인, 소형트랙터, 전기운반차, E-스쿠터 등
- 기타 부문: 유압기기류 등
2. 주요 제품:
-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UTV, 산업용 엔진 등
3. 핵심기술:
- 무인주행, 자율작업 등 스마트 농기계 기술
- 전동화, 자율주행, 텔레매틱스 등 모빌리티 신기술
- 정밀농업 기술
4. 시장 현황:
- 국내 농업 환경: 농가 고령화, 농가인구 감소
- 글로벌 트렌드: 식량 자급률 중요성 증가, 스마트 농기계 수요 증가
5. 주요 거래처:
- 국내: 농협, 대리점
- 해외: 미국, 유럽, 중국 등 글로벌 시장의 딜러 네트워크
6. 매출 유형별 매출 비중 (2023년 기준):
- 농기계: 90.29%
- 주물제품: 8.12%
- 기타: 1.59%
7. 3년간 매출 정보:
- 2023년: 1조 4,334억원
- 2022년: 1조 4,637억원
- 2021년: 1조 1,792억원
8. 향후 계획:
- 스마트 농기계 개발 강화
- 모빌리티 신기술 적용 확대
- 플랫폼&솔루션 사업 확장
9. 회사의 특징:
- 1947년 설립된 농기계 전문 기업
- 글로벌 시장 진출 (미국, 유럽, 중국 등)
- 스마트 농업 기술 개발에 주력
10. 경쟁력:
- 다양한 농기계 제품 라인업
- 글로벌 시장에서의 브랜드 인지도
- 스마트 농기계 기술 선도
11. 클로드(Claude)의 투자 조언:
이 회사는 농기계 산업의 선두 기업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과 스마트 농업 기술 개발을 통해 성장 잠재력이 있습니다. 그러나 농업 인구 감소와 경기 변동에 따른 위험도 존재합니다. 장기적 관점에서 스마트 농업 기술의 발전과 글로벌 식량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가 예상되지만, 단기적으로는 경기 변동과 환율 변동에 따른 실적 변동성에 주의해야 합니다. 농업 기술의 발전 추이와 회사의 기술 혁신 능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투자를 고려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2024년도 결산은 2025년 5월에 업데이트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