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티스카이라이프
종목코드 | 053210 |
---|---|
업종 | 텔레비전 방송업 |
주요제품 | 위성방송서비스 |
상장일 | 2011-06-03 |
결산월 | 12월 |
대표자명 | 최영범 |
홈페이지 | http://www.ktskylife.co.kr |
지역 | 서울특별시 |
케이티스카이라이프의 2023년도 결산 사업보고서 핵심 요약
KT스카이라이프는 위성방송, 유선방송, 그리고 방송채널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국내 유일의 위성방송사업자로서 전국 동일한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며, 최근에는 인터넷과 모바일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1. 영위하고 있는 사업:
- 위성방송서비스사업 (KT스카이라이프)
- 유선방송서비스사업 (HCN)
- 방송채널사업 (스카이라이프TV)
2. 제품:
- 위성방송 서비스
- 인터넷 서비스
- 모바일 서비스 (skylife모바일)
- 유선방송 서비스
- 방송채널 (ENA, ENA PLAY, ENA DRAMA 등)
3. 핵심기술:
- H.264 기반의 다채널 HD 방송 기술
- Android TV 기반 서비스 기술
4. 시장 현황:
- 2023년 하반기 기준 유료방송시장 가입자 수는 3,631만명
- 위성방송 시장점유율 7.83% (2023년 하반기 기준)
5. 거래처:
구체적인 거래처 정보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6. 매출 유형별 매출 비중 (2024년 2분기 기준):
- 서비스수익: 63.1%
- 플랫폼수익: 28.9%
- 기타수익: 8.0%
7. 3년간 매출 정보:
- 2023년: 708,217백만원
- 2022년: 693,779백만원
- 2021년: 정보 없음
8. 향후 계획:
- UHD 방송 서비스 확대
- OTT 서비스 제휴 확대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유튜브 프리미엄 등)
- TPS(Triple Play Service) 서비스 강화
9. 회사의 특징:
- 국내 유일의 위성방송사업자
- 전국 동일한 방송서비스 제공
- UHD 방송 시장 선도
10. 경쟁력:
- 위성의 광대역성과 전국 커버리지
- UHD 방송 기술 선도
- 다양한 OTT 서비스와의 제휴
11. 클로드(Claude)의 투자 조언:
KT스카이라이프는 안정적인 위성방송 사업을 기반으로 UHD 방송과 OTT 서비스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어 성장 잠재력이 있습니다. 그러나 IPTV와 케이블TV의 강한 경쟁, 그리고 OTT 서비스의 급성장으로 인한 위협도 존재합니다. 투자자들은 회사의 기술 혁신 능력과 새로운 서비스 도입 속도를 주시해야 합니다. 또한, 유료방송 시장의 포화 상태와 규제 환경 변화에 따른 리스크도 고려해야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5G와 IoT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서비스 개발 가능성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안정적이지만 제한적 성장이 예상되는 만큼, 배당 수익률과 함께 중장기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2024년도 결산은 2025년 5월에 업데이트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