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킷스튜디오
종목코드 | 066410 |
---|---|
업종 | 전기 통신업 |
주요제품 | DVD타이틀 |
상장일 | 2003-12-19 |
결산월 | 12월 |
대표자명 | 강지연 |
홈페이지 | http://www.towin-global.com |
지역 | 서울특별시 |
버킷스튜디오의 2023년도 결산 사업보고서 핵심 요약
버킷스튜디오는 콘텐츠 유통, 디지털 비즈니스, 임대사업, 키오스크, F&B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주요 사업으로는 영화 및 영상 콘텐츠 유통, 문자메시지 서비스, 부동산 임대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키오스크 유통과 외식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1. 영위하고 있는 사업:
- 콘텐츠 유통: 영화, 영상, 교육 등의 콘텐츠 제공
- 디지털비즈: 모바일 문자메시지 서비스
- 임대사업: 부동산 임대
- 키오스크 사업: 무인 결제 기기 유통
- F&B 사업: 외식 사업
2. 주요 제품:
- 문자메시지 서비스 (문자천국, 문자조아, 문자사랑 등)
- 영화 및 영상 콘텐츠 (IPTV, 케이블, 다운로드, DVD 등)
- 키오스크 기기
- 외식 브랜드 (포레스트)
3. 핵심기술:
- UMS(Unified Messaging System) 기술
- 콘텐츠 유통 플랫폼 기술
4. 시장 현황:
- 디지털 온라인 시장의 지속적 성장
- 키오스크 시장의 급성장 (2020년 176억 3000만 달러에서 2027년 339억 9000만 달러 전망)
- 외식산업의 기술 혁신 및 변화
5. 주요 거래처:
- IPTV, 케이블TV, 공중파 방송사
- 온라인 서비스 제공업체 (OSP)
- 프랜차이즈 및 자영업자 (키오스크 사업)
6. 매출 유형별 매출 비중 (2023년 기준):
- 디지털비즈 (문자서비스): 41.5%
- F&B 사업: 20.2%
- 키오스크 사업: 12.9%
- 임대사업: 9.0%
- 콘텐츠 유통: 9.1%
- 극장 사업: 7.3%
7. 3년간 매출 정보:
- 2023년: 18,890백만원
- 2022년: 24,374백만원
- 2021년: 15,200백만원
8. 향후 계획:
- 임대사업 안정화 및 확대
- 키오스크 사업 성장 추진
- F&B 사업에서 MZ세대 타겟 메뉴 개발 및 서비스 차별화
9. 회사의 특징:
-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 보유
- 신규 사업 진출을 통한 성장 추구
10. 경쟁력:
- 콘텐츠 유통에서의 다양한 플랫폼 확보
- 문자메시지 서비스의 안정적인 시장 점유율
- 키오스크 사업의 빠른 시장 진입
11. 클로드(Claude)의 투자 조언:
버킷스튜디오는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가진 기업으로, 리스크 분산 측면에서 긍정적입니다. 그러나 최근 3년간 매출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키오스크와 F&B 사업 등 신규 사업의 성장 가능성은 있지만, 이들 사업의 안정화 여부를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주력 사업인 디지털비즈 부문의 경쟁 심화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투자 결정 시 회사의 재무 건전성, 신규 사업의 성과, 그리고 전통적인 사업 부문의 안정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시기 바랍니다. 단기적인 투자보다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회사의 성장 가능성을 지켜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024년도 결산은 2025년 5월에 업데이트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