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강

종목코드 104700
업종 1차 철강 제조업
주요제품 철근. 단조강. 파이프
상장일 2008-09-29
결산월 12월
대표자명 문종인, 이수하 (각자대표)
홈페이지 http://www.kisco.co.kr
지역 경상남도

한국철강의 2023년도 결산 사업보고서 핵심 요약

한국철강은 120톤 전기로 및 압연설비를 통해 철근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철강 기업입니다. 주로 건설업에 사용되는 철근을 생산하며, 2023년 기준 905,096백만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1. 영위하고 있는 사업:
- 철강 사업 (철근 생산 및 판매)

2. 주요 제품:
- 철근 (건축구조용)
- 산소 등 기타 제품

3. 핵심기술:
- 전기로 제강 및 압연 기술
- 고효율 조업기술 개발
- 탄소중립 산업 핵심기술 개발

4. 시장 현황:
- 국내 건설경기 침체로 철근 수요 감소
- 원자재 가격 변동성 증가
- 중국 등 해외 경쟁 심화

5. 주요 거래처:
- (주)태영건설 (매출액의 6.30%)
- (주)대우건설 (매출액의 4.04%)
- (주)한화 (매출액의 3.18%)

6. 매출 유형별 매출 비중 (2023년 기준):
- 제품 (철근): 95.85%
- 상품 (철근): 3.08%
- 기타 (산소 등): 1.07%

7. 3년간 매출 정보:
- 2023년: 905,096백만원
- 2022년: 1,064,177백만원
- 2021년: 886,650백만원

8. 향후 계획:
- 원가절감 및 저가 원재료 확보
- 판매처 다각화 및 신규수요 창출
- 저가 수입철강재 대응

9. 회사의 특징:
- 국내 철근 시장점유율 9.7% (2023년 기준)
- ISO14001, ISO45001, KOSHA-MS 인증 보유
-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대상 기업

10. 경쟁사 대비 경쟁력:
- 국내 주요 철근 생산업체 중 하나
- 전국적인 판매망 보유 (17개 하치장 운영)

11. 클로드(Claude)의 투자 조언:
한국철강은 국내 주요 철근 생산업체로 안정적인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건설경기 침체와 원자재 가격 변동성 증가로 인해 최근 매출이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투자 시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1. 건설경기 전망: 철근 수요는 건설경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국내 건설경기 회복 여부를 주시해야 합니다.
2. 원자재 가격 동향: 철스크랩 가격 변동이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국제 원자재 시장 동향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3. 경쟁력 강화 노력: 원가절감, 판매처 다각화 등 회사의 경쟁력 강화 노력의 성과를 지켜봐야 합니다.
4. 환경규제 대응: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등 환경 규제 대응 능력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장기적으로는 국내 건설경기 회복과 회사의 경쟁력 강화 노력에 따라 실적 개선 가능성이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시장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중장기 관점에서 접근하되, 시장 상황 변화에 따른 리스크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2024년도 결산은 2025년 5월에 업데이트 됩니다

뒤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