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생명과학
종목코드 | 114450 |
---|---|
업종 | 기초 의약물질 제조업 |
주요제품 | 의약품 중간체 등 |
상장일 | 2009-12-22 |
결산월 | 12월 |
대표자명 | 양준화, 이기성(각자 대표이사) |
홈페이지 | http://www.kpxls.com/ |
지역 | 전라남도 |
그린생명과학의 2023년도 결산 사업보고서 핵심 요약
그린생명과학은 의약품, 전자재료 및 농약 원료와 중간체를 개발, 생산, 판매하는 정밀화학 기업입니다. 글로벌 제약, 전자재료, 농약 시장을 대상으로 관련 원료 및 중간체를 공급하고 있으며, CMO 사업을 주요 전략으로 삼고 있습니다.
1. 영위하고 있는 사업:
- 의약품 원료 및 중간체 개발, 생산, 판매
- 전자재료 원료 및 중간체 개발, 생산, 판매
- 농약 원료 및 중간체 개발, 생산, 판매
- 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사업
2. 주요 제품:
- 의약품 분야: Venlafaxine, Clopidogrel, Sarpogrelate HCl, Dexibuprofen 등
- 농약 분야: AMZ(제초제), IKF-309(살균제), CCIM(살충제) 등
- 전자재료 분야: 디스플레이용 전자재료 중간체, 반도체 소재 중간체, 2차전지 전해액 첨가제 중간체 등
3. 핵심기술:
- 포스겐 활용 기술
- 대용량 수소화 반응 기술
- Chlorine, Bromine, Hydrogen Chloride 활용 기술
4. 시장 현황:
- 세계 의약품 시장: 2022년 기준 약 1조 4,820억 달러, 연평균 6~7% 성장 전망
- 글로벌 원료의약품 시장: 2022년 2,000억 달러 규모, 연평균 6% 성장 전망
5. 주요 거래처:
- Pfizer, Novartis 등 다국적 제약회사
- 국내 제약회사(LG화학, 보령제약 등)
- UPL Limited LTD(농약 분야)
6. 매출 유형별 비중(2023년 기준):
- 제품 매출: 96.1% (내수 41.4%, 수출 54.7%)
- 기타(임대 및 용역제공 등): 3.9%
7. 3년간 매출 정보:
- 2023년: 22,369백만원
- 2022년: 26,167백만원
- 2021년: 30,987백만원
8. 향후 계획:
- Acrylate Monomer(AM) 생산 확대
- 디스플레이용 전자재료 중간체 수출 확대
- 반도체 소재 중간체 및 2차전지 전해액 첨가제 중간체 사업 확대
9. 회사의 특징:
- 국내 최초로 합성공장으로 미국 FDA 승인 획득
- 다양한 화학 반응 설비 및 기술 보유
- CMO 사업 강점
10. 경쟁력:
- 포스겐 활용 기술의 독보적 위치
- 대용량 수소화 반응 기술의 국내 유일성
- 다국적 기업과의 장기적인 거래 관계
11. 클로드(Claude)의 투자 조언:
그린생명과학은 정밀화학 분야에서 독특한 기술력과 글로벌 거래처를 보유한 기업입니다. 하지만 최근 3년간 매출이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회사의 강점인 CMO 사업과 신규 사업(전자재료, 2차전지 관련)의 성장세를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경기 변동과 제약/화학 산업의 동향에 민감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술력과 신규 사업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투자 가치가 있을 수 있으나, 단기적인 실적 개선 여부를 지켜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diversification할 때 이 주식을 portfolio에 포함시키는 것을 고려해 볼 만 합니다.
2024년도 결산은 2025년 5월에 업데이트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