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림
종목코드 | 136480 |
---|---|
업종 | 도축, 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 |
주요제품 | 육계, 육계가공식품 |
상장일 | 2011-05-02 |
결산월 | 12월 |
대표자명 | 김홍국, 정호석(각자대표) |
홈페이지 |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
하림의 2023년도 결산 사업보고서 핵심 요약
하림은 계육제품의 생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수직계열화 업체입니다. 사료 생산부터 사육, 도계, 가공, 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하며, 국내 닭고기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 영위하고 있는 사업:
- 사료 생산
- 육계 사육 (원종계, 종계, 육계)
- 도계 및 계육 제품 생산
- 육가공 제품 생산
- 성계 도계 및 수출
2. 제품:
- 신선육 (통닭, 부분육, 절단육 등)
- 양념육
- 육가공품 (냉동, 냉장, 상온제품)
- 사료
3. 핵심기술:
- 수직계열화 시스템
- 동물복지 도계시스템
- 스마트팩토리 기술
4. 시장 현황:
- 2023년 국내 닭고기 시장 규모: 약 3조 5,000억원
- 연간 5~10% 성장률
- 1인당 닭고기 소비량: 15.7kg (2023년 추정)
5. 주요 거래처:
- 대형마트 (이마트 등)
-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 (멕시카나, 호식이두마리치킨 등)
- 유통업체
6. 매출 유형별 매출 비중 (2023년 기준):
- 육계부문: 73.00%
- 육가공부문: 13.85%
- 기타: 13.15%
7. 3년간 매출 정보:
- 2023년: 1,410,838백만원
- 2022년: 1,342,909백만원
- 2021년: 1,118,054백만원
8. 향후 계획:
- 신제품 개발 강화
- 해외 시장 확대
- 동물복지 및 친환경 사업 확대
9. 회사의 특징:
- 수직계열화 시스템 구축
- 동물복지 및 무항생제 인증 농장 운영
- 스마트팩토리 도입으로 생산성 향상
10. 경쟁사 대비 경쟁력:
- 국내 닭고기 시장 점유율 1위 (20.2%, 2023년 기준)
- 수직계열화를 통한 원가 경쟁력
- 동물복지 시스템 선도적 도입
11. 클로드(Claude)의 투자 조언:
하림은 국내 닭고기 시장의 선도 기업으로, 안정적인 시장 점유율과 수직계열화 시스템을 통한 원가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꾸준한 매출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동물복지와 친환경 사업 확대 등 미래 지향적인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만, 축산업의 특성상 질병 리스크와 원자재 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성 변화에 주의해야 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내 육류 소비 증가 트렌드와 회사의 경쟁력을 고려할 때 투자 검토가 가능하나, 단기적인 변동성에 대비한 분산 투자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ESG 경영 강화 추세에 따른 회사의 대응 능력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할 것입니다.
2024년도 결산은 2025년 5월에 업데이트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