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ENP

종목코드 138490
업종 합성고무 및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
주요제품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상장일 2011-06-15
결산월 12월
대표자명 허성
홈페이지 http://www.kolonenp.com
지역 경상북도

코오롱ENP의 2023년도 결산 사업보고서 핵심 요약

코오롱ENP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의 제조, 가공 및 판매를 주력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주로 자동차 및 전기전자 부품에 사용되는 고기능성 플라스틱 소재를 생산하며, 특히 POM과 Compound 제품을 주요 사업 부문으로 하고 있습니다.

1. 영위하고 있는 사업: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의 제조, 가공 및 판매
- POM (폴리옥시메틸렌) 사업
- Compound 제품 사업 (PA, PBT, PEL, PET 등)

2. 주요 제품:
- POM (폴리옥시메틸렌):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 제품 기어류 등에 사용
- PA (폴리아미드):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 부품 등
- PB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전기/전자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
- PEL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탄성이 요구되는 부품에 사용
- PPS, PC 등 다양한 컴파운드 제품

3. 핵심기술:
- POM 중합 기술
- 다양한 소재의 컴파운딩 기술
- 자동차 및 전기전자 부품용 소재 개발 기술

4. 시장 현황:
- 자동차 산업의 경량화 트렌드로 인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요 증가
- 전기차 시장 성장에 따른 관련 부품 소재 수요 증가
-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로 인한 일부 산업 수요 위축

5. 주요 거래처:
- BASF South East Asia Pte. Ltd
- (주)씨앤케이폴리머
- (주)부림케미칼
- (주)태광폴리머
- (주)정일폴리머

6. 매출 유형별 매출 비중 (2023년 기준):
- POM: 54.4%
- Compound 제품: 45.6%

7. 3년간 매출 정보:
- 2023년: 456,198백만원
- 2022년: 518,076백만원
- 2021년: 405,272백만원

8. 향후 계획:
- 전기차 부품용 소재 개발 및 시장 확대
- 친환경 소재 개발 지속
- 해외 시장 확대 (인도, 중국, 미국, 유럽 등)

9. 회사의 특징:
- 다양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제품 포트폴리오 보유
- 자체 POM 중합 설비 보유로 안정적인 원재료 수급 및 원가 경쟁력 확보

10. 경쟁력:
- 43년간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연구개발 노하우
- 자동차 및 전기전자 산업에 특화된 기술력
-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한 해외 시장 진출

11. 클로드(Claude)의 투자 조언:
코오롱ENP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에서 강점을 가진 기업으로, 특히 자동차 산업의 경량화 트렌드와 전기차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가 기대됩니다. 다만,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로 인한 단기적인 실적 변동성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장기 투자자라면 회사의 기술력과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 그리고 친환경 소재 개발 등 미래 성장 동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단, 원자재 가격 변동과 환율 리스크 등 외부 요인에 의한 영향도 고려해야 합니다. 종합적으로, 산업 트렌드와 회사의 기술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나, 글로벌 경제 상황과 자동차 산업의 변화를 주시하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2024년도 결산은 2025년 5월에 업데이트 됩니다

뒤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