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생명자원
종목코드 | 218150 |
---|---|
업종 | 동물용 사료 및 조제식품 제조업 |
주요제품 | 동물용 사료 및 조제식품 제조업 |
상장일 | 2015-06-18 |
결산월 | 12월 |
대표자명 | 김성진 |
홈페이지 | http://www.milaebio.com |
지역 | 서울특별시 |
미래생명자원의 2023년도 결산 사업보고서 핵심 요약
주식회사 미래생명자원은 사료와 식품 부문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사료 부문에서는 특수가공원료, 기능성 원료, 첨가제 등을 생산하며, 식품 부문에서는 계란 유통과 건강기능식품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1. 영위하고 있는 사업:
- 사료 부문: 특수가공원료(EP), 기능성 원료, 기능성 첨가제, 프리믹스 첨가제 생산
- 식품 부문: 계란 유통, 기능성 소재 및 건강기능식품 제조/유통
- 반려동물 건강기능식품 사업
- 무인자동화 시스템 사업 (종속회사 러셀로보틱스)
2. 주요 제품:
- 사료 부문: 특수가공원료(EP), 기능성 원료, 기능성 첨가제, 프리믹스 첨가제
- 식품 부문: 계란, 기능성 소재, 건강기능식품
- 반려동물 건강기능식품: Optipet 브랜드 제품
- 무인자동화 시스템: AGV, AGF, AMR 등
3. 핵심기술:
- GABA 활용 기술 (스트레스 저감, 적혈구 생성 촉진 등)
- 특수가공원료(EP) 생산 기술
- 반려동물 건강기능식품 개발 기술
4. 시장 현황:
- 반려동물 시장: 2020년 3조 3753억원 규모, 2027년 6조원 전망
- 배합사료 시장: 2023년 21,886,239톤 생산
5. 주요 거래처:
- SK하이닉스, 매그나칩, LG화학, 동우화인켐 등
6. 매출 유형별 매출 비중 (2023년 기준):
- 사료 부문: 57.37%
- 식품 부문: 22.72%
- 해외 사업: 19.91%
7. 3년간 매출 정보:
- 2023년: 60,015백만원
- 2022년: 62,715백만원
- 2021년: 53,837백만원
8. 향후 계획:
- 해외 수출 확대 (일본, 베트남 등)
- 반려동물 건강기능식품 사업 확대
-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옵티헬스' 사업 강화
9. 회사의 특징:
- 사료 및 식품 부문에서의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
- 자체 연구개발을 통한 기능성 소재 개발
10. 경쟁력:
- 국내 유기태 미네랄, 감미제, 향미제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
- 반려동물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의 선도적 위치
11. 클로드(Claude)의 투자 조언:
미래생명자원은 사료와 식품 부문에서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가진 기업입니다. 특히 반려동물 건강기능식품과 같은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시장에 진출한 점은 긍정적입니다. 그러나 최근 3년간 매출이 다소 정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회사의 기술력과 시장 점유율, 향후 성장 전략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반려동물 시장과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성장세를 고려할 때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은 있으나, 경쟁 심화와 규제 변화 등의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중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되, 회사의 실적 개선 여부와 신규 사업의 성과를 지켜보며 투자 결정을 해야 할 것입니다.
2024년도 결산은 2025년 5월에 업데이트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