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타바이오

종목코드 293780
업종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
주요제품 용역매출, 유전자전달체, 압타머연구용시약
상장일 2019-06-12
결산월 12월
대표자명 이수진
홈페이지 http://www.aptabio.com
지역 경기도

압타바이오의 2023년도 결산 사업보고서 핵심 요약

압타바이오는 플랫폼 기술 기반 'First-in-Class' 신약개발 전문기업입니다. 산화 스트레스 조절, CAF Modulation, 압타머-약물 복합체(Apta-DC) 등 3가지 독창적인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 도전할 수 있는 혁신 신약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건강기능식품 ODM 사업과 펫케어 사업에도 진출했습니다.

1. 영위하고 있는 사업:
- 신약개발 사업 (주력)
- 건강기능식품 ODM 사업
- 펫케어 사업
- 유전자 전달체 시약 판매

2. 제품:
- 신약 파이프라인: 당뇨병성 신증, 조영제신독성, NASH, 망막병증, 황반변성, 동맥경화, 뇌질환치료제, 면역항암제, 혈액암, 췌장암, 간암 치료제 등
- 건강기능식품
- 펫케어 상품
- 유전자 전달체 시약

3. 핵심기술:
- 산화 스트레스 조절(Oxidative stress modulation) 플랫폼
- CAF Modulation 플랫폼
- 압타머-약물 복합체(Aptamer-drug conjugate, Apta-DC) 플랫폼
- 유전자 전달체 기술

4. 시장 현황:
-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 2022년 기준 4,777억 달러 규모
-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2022년 5조 3,924억원 규모
- 글로벌 펫케어 시장: 2020년 1,421억 달러 규모

5. 거래처:
- 삼진제약 (Apta-16, APX-1004F 라이선스 계약)
- 이화여대 산학협력단 (NOX 작용기전 조절 의약품 개발 라이선스 계약)

6. 매출 유형별 매출 비중 (2023년 기준):
- 건강기능식품 ODM: 64.79%
- 펫케어 상품판매: 19.06%
- 시약판매: 16.15%

7. 3년간 매출 정보:
- 2023년: 323,869천원
- 2022년: 48,353천원
- 2021년: 223,677천원

8. 향후 계획:
- 임상 2a상 이후 라이선스 아웃 추진
- 비임상 단계에서 공동개발 모델 추진
- 신규 사업 (건강기능식품, 펫케어) 확대

9. 회사의 특징:
- 독창적인 플랫폼 기술 보유
- 오픈이노베이션 컨셉의 연구개발 운영
- 조기에 3건의 기술이전 성과 달성

10. 경쟁력:
- 세계 최초의 압타머-약물 복합체 기술 개발
- NOX 저해제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 보유
- 신약개발 경험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ODM 사업 진행

11. 클로드(Claude)의 투자 조언:
압타바이오는 혁신적인 플랫폼 기술과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유망한 바이오기업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신약개발 사업의 특성상 높은 리스크와 장기간의 개발 기간이 필요하며, 현재 매출의 대부분이 신규 진출한 건강기능식품과 펫케어 사업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회사의 핵심 기술과 파이프라인의 진행 상황, 라이선스 아웃 가능성, 그리고 신규 사업의 성장 잠재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단기적인 수익보다는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어 투자를 검토하되, 바이오 산업의 높은 변동성과 리스크를 충분히 인지하고 접근해야 할 것입니다.

2024년도 결산은 2025년 5월에 업데이트 됩니다

뒤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