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에프씨생명과학
종목코드 | 388610 |
---|---|
업종 | 기타 화학제품 제조업 |
주요제품 | 화장품 바이오 소재 및 임상실험 |
상장일 | 2022-12-23 |
결산월 | 12월 |
대표자명 | 강희철 / 표형배 |
홈페이지 | http://www.gfcos.co.kr/ |
지역 | 경기도 |
지에프씨생명과학의 2023년도 결산 사업보고서 핵심 요약
지에프씨생명과학은 2002년 설립된 바이오 소재 연구개발 기업입니다. 천연 소재 기반의 추출물, 마이크로바이옴, 엑소좀, 식물줄기세포, 리포좀 전달체 소재 등 첨단 바이오 소재를 개발하여 화장품 ODM 및 제조사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9년부터는 인체적용시험 및 In-Vitro 시험을 수행하는 임상사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1. 영위하고 있는 사업:
- 바이오 소재 연구개발 및 공급 (소재사업부)
- 인체적용시험 및 In-Vitro 시험 (임상사업부)
2. 주요 제품:
- Bioformulating: 추출물 혹은 바이옴을 이용한 바이오 소재
- Biome: 피부 유익균을 발효하여 추출한 바이오 소재
- Extract: 생물유래 추출물 기반의 바이오 소재
- Stem Cell: 식물추출물의 줄기세포 기반의 바이오 소재
- Exosome: 바이옴/스템셀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고도의 바이오 소재
- ODM 제품
- 스킨부스터: 엑소좀 동결건조 기술을 이용한 고기능성 스킨부스터
3. 핵심기술:
- 스킨 마이크로바이옴 기술
- 엑소좀 분리 및 검증 기술
- 식물세포 배양 기술
- 인체적용시험 기술
4. 시장 현황:
-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2022년 61.8억 달러에서 2026년 100.9억 달러로 성장 전망
- 글로벌 엑소좀 기술 시장: 2023년 473억 달러에서 2031년 3,435억 달러로 성장 전망
- 글로벌 화장품 시장: 2022년 4,292억 달러 규모, 연평균 7.1% 성장 전망
5. 주요 거래처:
- 한국콜마주식회사, 서울화장품, 코스맥스 등 대형 ODM 사
- Dr.Jart 등 유명 브랜드
- LG전자, 삼성전자 해외법인 및 이집트, 터키 등 해외 로컬 가전업체
6. 매출 유형별 매출 비중 (2023년 기준):
- 제품 (바이오소재): 69.17%
- ODM 등: 15.4%
- 상품 (바이오소재): 4.27%
- 용역 (인체적용시험 등): 26.56%
7. 3년간 매출 정보:
- 2023년: 15,301백만원
- 2022년: 14,158백만원
- 2021년: 13,736백만원
8. 향후 계획:
- 엑소좀 스킨부스터 GFC CELL Exo 시리즈의 해외수출 확대
- 미국, 일본 시장 진출 강화
- 지속적인 신규 바이오 소재 개발
9. 회사의 특징:
- 2,000여종의 첨단 바이오 소재 개발 능력
- 자체 구축한 2,000여개의 균주 library 보유
- 국내 바이오 소재 기업 최초로 피부상재균 시험법 개발
10. 경쟁력:
- 독자적인 마이크로바이옴 및 엑소좀 기술 보유
- 다양한 원천 소재(피부유산균, 두피유산균, 식물 캘러스 등)를 활용한 엑소좀 생산 능력
- 인체적용시험 및 In-Vitro 시험 수행 능력 보유
11. 클로드(Claude)의 투자 조언:
지에프씨생명과학은 빠르게 성장하는 바이오 소재 및 화장품 시장에서 독자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마이크로바이옴과 엑소좀 기술은 향후 화장품 및 의료 분야에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바이오 기술 산업의 특성상 연구개발 비용이 높고 경쟁이 치열할 수 있으므로, 회사의 기술 경쟁력 유지와 신제품 개발 능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해외 시장 진출 성과와 대형 고객사와의 거래 지속 여부도 중요한 체크포인트입니다. 전반적으로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이지만, 기술 집약적 산업의 특성상 위험도 존재하므로 분산 투자의 일환으로 고려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2024년도 결산은 2025년 5월에 업데이트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