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프릴바이오
종목코드 | 397030 |
---|---|
업종 |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 |
주요제품 | 항체의약품 및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 |
상장일 | 2022-07-28 |
결산월 | 12월 |
대표자명 | 차상훈 |
홈페이지 | http://www.aprilbio.com/ |
지역 | 강원특별자치도 |
에이프릴바이오의 2023년도 결산 사업보고서 핵심 요약
에이프릴바이오는 인간항체 제작 기술과 단백질의약품 반감기 증대 기술을 바탕으로 항체치료제 및 지속형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을 개발하는 바이오 신약 개발 기업입니다. 주요 기술로는 SAFA 플랫폼과 HuDVFab 항체라이브러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1. 영위하고 있는 사업:
- 항체치료제 및 지속형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 개발
- 기술이전을 통한 수익 창출 (RIPCO 모델)
2. 주요 제품:
- APB-A1: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임상 1상 완료)
- APB-R3: 염증질환 치료제 (임상 1상 진행 중)
- APB-R4: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비임상 단계)
- APB-R5: 고형암 치료제 (비임상 단계)
- APB-R2: 남성불임 치료제 (비임상 단계)
3. 핵심기술:
- SAFA (anti-Serum Albumin Fab-Associated technology) 플랫폼: 약물의 혈중 반감기 증대
- HuDVFab 항체라이브러리: 인간 항체 신약 후보물질 획득
4. 시장 현황:
-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 2022년 4,310억 달러, 2027년 6,660억 달러 전망
- 자가면역질환 시장: 2025년 1,533억 달러 전망
- 염증질환 시장: 2025년 1,612억 달러 전망
5. 주요 거래처:
- 룬드벡(H. Lundbeck A/S): APB-A1 기술이전 계약 체결 (4억 4,800만 달러 규모)
- 유한양행: APB-R5 공동개발 계약 체결
6. 매출 유형별 매출 비중:
2023년 매출 없음 (2022년 기준 기술이전 매출 100%)
7. 3년간 매출 정보:
- 2023년: 0원
- 2022년: 2억원
- 2021년: 234억원
8. 향후 계획:
- APB-A1의 임상 2상 진행 (룬드벡)
- APB-R3의 임상 1상 완료 및 후속 임상 준비
- 다양한 파이프라인의 비임상 및 임상 연구 진행
9. 회사의 특징:
- SAFA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신약 후보 물질 개발
- 글로벌 제약사와의 기술이전 성공 경험
10. 경쟁력:
- SAFA 기술의 우수한 지속성 및 개발성
- 다양한 형태의 신약 후보 개발 가능성
- 수동적 표적화 기능으로 효율적인 약물 전달
11. 클로드(Claude)의 투자 조언:
에이프릴바이오는 혁신적인 플랫폼 기술과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유망한 바이오 기업입니다. 글로벌 제약사와의 기술이전 실적은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하지만 바이오 신약 개발은 높은 리스크와 긴 개발 기간이 필요한 산업입니다. 현재 매출이 불안정하고 임상 단계의 파이프라인이 많아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되, 임상 시험 결과와 추가 기술이전 가능성 등을 주시하며 신중하게 투자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다만 고위험 투자이므로 분산 투자를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4년도 결산은 2025년 5월에 업데이트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