쏘카
종목코드 | 403550 |
---|---|
업종 | 운송장비 임대업 |
주요제품 | 카셰어링, 모빌리티 플랫폼 등 |
상장일 | 2022-08-22 |
결산월 | 12월 |
대표자명 | 박재욱 |
홈페이지 | http://www.socarcorp.kr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
쏘카의 2023년도 결산 사업보고서 핵심 요약
쏘카는 '모든 사람이 자유롭고 행복하게 이동하는 세상을 만듭니다'라는 미션 아래 전국 규모의 카셰어링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카셰어링 부문과 플랫폼 부문을 주요 사업으로 하며, 모바일 앱을 통해 다양한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 영위하고 있는 사업:
- 카셰어링 부문: 단기 카셰어링, 쏘카플랜(월단위 차량 대여)
- 플랫폼 부문: 교통 및 숙박 연계 플랫폼 서비스, 주차장 정보 검색 및 결제 플랫폼, 전기자전거 공유 서비스
- 기타: 차량 매각, 차량관제시스템(FMS) 솔루션 등
2. 주요 제품/서비스:
- 단기 카셰어링: 10분 단위로 차량 대여 가능
- 쏘카플랜: 1~12개월 단위의 구독형 카셰어링 서비스
- 모두의주차장: 주차장 정보 안내 및 제휴 서비스
- 일레클: 공유 전기자전거 서비스
3. 핵심기술:
- 모바일, IoT, AI 및 머신러닝 기술을 결합한 카셰어링 서비스 운영
- 차량 내 센서와 단말기, 차량관리 솔루션을 통한 효율적인 차량 관리
- 데이터 기반의 수요 예측 및 차량 배치 최적화 기술
4. 시장 현황:
- 국내 카셰어링 시장은 쏘카와 그린카가 주도하는 과점 시장
- 쏘카는 현대카드 결제액 기준 약 83% 이상의 시장 점유율 보유(2023년 기준)
5. 주요 거래처:
- 기아자동차, 현대자동차 등에서 차량 구매
- SK텔레콤, 파인디지털 등에서 차량 컨트롤 단말기 구매
6. 매출 유형별 매출 비중(2023년 기준):
- 카셰어링 부문: 82.7%
- 플랫폼 부문: 7.9%
- 기타: 9.4%
7. 3년간 매출 정보:
- 2023년: 398,472백만원
- 2022년: 397,560백만원
- 2021년: 283,161백만원 (2021년 매출액은 문서에 명시되지 않아 정확한 수치를 알 수 없음)
8. 향후 계획:
- 차량관제시스템(FMS) 솔루션의 상용화 추진
-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으로 사업 확대
9. 회사의 특징:
- 국내 최대 규모의 카셰어링 사업자
- 높은 기술력과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운영
-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는 플랫폼 구축
10. 경쟁력:
-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과 브랜드 인지도
- 전국적인 차량 네트워크와 높은 접근성
-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서비스 확장
11. 클로드(Claude)의 투자 조언:
쏘카는 국내 카셰어링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높은 시장 점유율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모빌리티 산업의 성장 잠재력과 회사의 지속적인 서비스 확장은 긍정적인 요소입니다. 다만, 경쟁 심화와 규제 변화 등의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투자자는 회사의 재무 상태, 수익성, 그리고 향후 성장 전략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또한, 모빌리티 산업의 트렌드와 기술 발전 동향을 주시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를 고려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단기적인 수익보다는 회사의 장기 성장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어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현명할 것 같습니다.
2024년도 결산은 2025년 5월에 업데이트 됩니다